본문 바로가기

정신보건사회복지

지역사회정신보건의 실천방법 -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2)

② 취업 프로그램
ㄱ. 보호작업장 보호작업장은 임시취업이나 독립취업을 할 만큼 회복되지 않은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보호적인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대부분 작업공간은 정신보건기관 내에 배정되고 작업내용은 간단한 수공업 제품을 조립하거나 완성하는 것으로 계약에 따라 연계된 외부업체에서 작업량을 수주하여 기관 내에서 작업하게 된다. 보통 작업량에 따라서 정신장애인 개인이 작업수당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아직 회복되지 않은 정신장애인들이 정신보건서비스를 받으면서 작업을 통한 직업 경험을 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ㄴ. 임시취업, 독립취업
임시취업은 1957년 Club House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한국사회복귀시설협회, 2006), 임시취업은 독립취업을 하여 경쟁단계에 들어가기 전에 수개월 동안 전 가의 지도를 받으면서 직업 경험을 하는 것이며,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독립적으로 직업 경험을 하게 된다. 정신장애인이 장애로 인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일할 기회와 권리를 가지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이 로그램의 중요한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지역사회 심리 재활 프로그램인 클럽하우스(Club House) 모델을 적용하여 운영되고 있는 태화샘솟는집에서 임시취업 형태의 취업 프로그램을 시작하였고, 이후 클럽하우스 모델을 적용한 전국의 사회복귀시설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지역사회 정신보건기관에서 임시취업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원하고 있다. | 임시취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독립취업을 하게 된다. 이 단계부터는 직업 유지를 잘하여 사회적 · 직업적으로 독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 하다. 정신보건전문가는 이를 위해, 독립 취업한 정신장애인이 직장 내에서 업무로 인한 어려움이나 대인관계, 금전관리, 증상관리 등으로 인한 어려움이 없는지를 지켜보면서 필요한 도움을 주어야 한다. 따라서 전문가가 작업장을 직접 방문하고, 자조 모임을 활성화하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사회기술훈련이나 직업적응훈련 등의 프로그램을 개별적 또는 집단으로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김 규수, 2005).
ㄷ. 지원 고용
지원고용제도는 1984년 미국의 발달장애인법과 장애인 교육법개정안에 근거하고 있다. 즉, 중증의 장애인을 한 장소에 모아 놓고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람들과 협력하면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직업 코치(job coach)는 전문가로서 이들이 유용한 직업을 가지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지원 고용을 구성하는 요소는 직업배치를 위한 포괄적인 접근, 집중적인 현장 훈련과 옹호, 작업자의 수행능력에 대한 지속적 평가, 장기적인 직업유지와 사후 시도를 위한 체계적인 접근 등의 네 가지 필수요소로 구성된다. 지원 고용의 수행은 직업개발, 내담자 사정, 직업 배치, 직업현장훈련, 지속적 평가와 사후지도 등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박석돈, 2001), 전문가는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정신장애인이 유용한 직업인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그들의 강점과 능력을 최대한 발견하여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ㄹ. 사회적 기업
사회적 기업은 일반 기업과 달리 이윤의 창출에 목적을 두지 않고 사회적인 목적, 즉 공익적인 목적으로 설립되어 운영되는 기업을 말한다. 사회적 기업은 1970년대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하여 기업의 형태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사회적 일자리에 관한 관심이 늘면서 사회적 기업이 출현하였고 기존의 자활공동체가 사회적 기업으로 발전되는 형태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2006 년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시행된 이후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제도적 차원에서 지원하고 보완해야 할 내용이 많다(김명희, 2008).
사회적 기업이 처음 시작될 당시 많은 사회복지기관이 프로그램의 목적으로 사업을 시작하였다. 정신보건 분야에서는 정신장애인들이 복사나 인쇄 사업을 하거나, 쿠키 가게를 운영하는 예가 있었다. 약물남용 프로그램의 하나로 레스토랑, 제과점이 운영되었으며, 발달장애 프로그램으로 카페운영, 사무실 청소대행 등의 사업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대부분 프로그램이 적자를 내어 운영의 어려움이 있었고, 일부 성공적인 사업은 이익을 창출하여 오랫동안 사업을 유지함으로써,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사회적 기업 정착에 이바지하기도 하였다(문용훈, 2005).
사회적 기업은 출현배경과 조건, 운영원리, 추구하는 목표 등에 따라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문용훈, 2005). 첫째, 사회적 협동조합(social cooperatives)의 형태는, 노동자 협동조합, 소비자 협동조합, 농업 협동조합 등 전통적 협동조합 형태에서 기원한다. 사회적으로 소외된 계층의 고용을 중요하게 여기며, 취약계층에게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조합형태의 사회적 기업은 조합형태로 이탈리아, 스웨덴, 영국 등에서 볼 수 있다. 둘째, 노동통합형 사 회적 기업(work-integration social enterprise)으로 훈련, 고용, 주거 등의 서비스를 등 합된 하나의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소외계층의 노동통합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사회적 기업은 프랑스 스페인 등에서 많이 나타난다. 셋째, 제3 섹터 기업은 장기실업자와 같은 소외계층의 노 이루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러한 형태의 사업은 프랑스에서 주로 나타난다. 넷째, 사회적 회사(social firms)는 영국 기업 모델로 정신적 육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일반 작업환경과 황에서 훈련할 기회의 제공과 일자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